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재테크

주휴수당이 뭐길래? 받는 조건부터 계산 방법까지

by 키다리언니 제루샤 2025. 7. 5.
반응형

주휴수당은 알바·파트타이머라면 꼭 알아야 할 급여 개념이에요.

근로기준법에 따라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일주일에 하루치 임금을 추가로 받는 제도인데요.

이번 글에서는 주휴수당의 정의, 받는 조건, 초간단 계산법, 실전 예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드립니다. 💡

 

주휴수당 계산법
주휴수당 계산법

 

🤔 “주휴수당이 뭐예요?”

주휴수당은 근로기준법에 나오는 개념이에요.
쉽게 말하면, 일주일 동안 일정 시간 이상 일하면 하루는 돈을 받으면서 쉴 수 있는 제도랍니다.

 

📚 근로기준법으로 배우는 주휴수당

근로기준법 규정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한 근로자에게는 하루의 유급휴일을 줘야 한다.”

 

여기서 유급휴일이란?

돈을 받으면서 쉴 수 있는 날이에요. ✨

 

💡 중요한 점

✔️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해야 함
✔️ 기업의 규모, 형태 관계 없이 모두 해당
✔️ 주휴일은 반드시 주말일 필요 없음

 

🏷️ 주휴수당이란?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한 사람에게 유급휴일 하루치 임금을 지급하는 것을 말해요.

즉, 주휴일에는 일을 안 해도 마치 일한 것처럼 하루치 임금을 받는 것이죠. 💸

📌 주휴일 요일은?

법에서 정해진 요일은 없어요.
기업마다, 알바 스케줄마다 다를 수 있답니다.

🔍 예시 1.  주 5일, 하루 8시간 근무

일주일 총 근로시간: 5일 x 8시간 = 40시간

이 경우, 주말 이틀 중 하루는 8시간 근무한 것으로 간주돼요.

✔️ 주휴시간 = 8시간 ✔️ 주휴수당 = 시급 x 8시간

💭 계산

만약 시급이 10,000원이라면?

주휴수당 = 10,000원 x 8시간 = 80,000원

👉 일주일 급여 + 80,000원 = 총 지급액!

 

🔍 예시 2.  주 4일, 하루 6시간 근무

일주일 총 근로시간: 4일 x 6시간 = 24시간

이 경우는 조금 달라요.

주휴수당 계산은 주 5일 근무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에요.

💡 계산법

  1. 주 5일로 환산
    → 24시간 ÷ 5일 = 4.8시간
  2. 주휴시간 = 4.8시간
  3. 주휴수당 = 시급 x 4.8시간

💭 계산

시급이 10,000원이라면?

주휴수당 = 10,000원 x 4.8시간 = 48,000원

👉 주급 + 48,000원이 총 급여로 들어오게 됩니다!

반응형

 

왜 주 5일로 환산하나요?

유급휴일은 주 5일 근무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이에요.
일주일에 5일 미만으로 일해도, 일한 시간을 5일로 나눠서 하루치 임금을 계산합니다.

 

🚨 주의사항

일주일에 15시간 미만 일하면 주휴수당 없음

주휴수당은 무조건 하루치 임금이 아님
(주 5일 미만 근무자는 계산법이 달라짐!)

 

📝 주휴수당 계산 꿀팁 공식

[주휴수당] = [주간 총 근로시간 ÷ 5] x 시급

✔️ 일주일 15시간 이상 근무해야 발생
✔️ 주 5일 근무자는 하루 근무시간 x 시급
✔️ 주 5일 미만 근무자는 총 근로시간 ÷ 5 x 시급

 

🧐 Q&A 코너

Q. 알바생도 받을 수 있나요?

네! 일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면 기업 규모 상관없이 무조건 지급됩니다.

Q. 주휴일은 무조건 주말인가요?

아니요. 회사마다 다르고, 주말이 아니어도 됩니다.

Q. 주휴수당 못 받으면?

근로기준법 위반이에요.
고용노동부 고객상담센터(1350)에 문의하세요!

 

💬 마무리

오늘은 주휴수당의 정의와 계산법, 실전 예시까지 알아봤어요.
알바를 하거나 취업을 준비하는 친구들이라면 꼭 기억해두세요.

당연히 받아야 할 권리는 확실히 챙기는 게 경제 공부의 시작이랍니다! ✨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글에서 더 알찬 경제 이야기로 돌아올게요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