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매매 체결 원칙과 주문방식, 초보 투자자가 꼭 알아야 할 핵심 개념!

by 키다리언니 제루샤 2025. 7. 9.
반응형

주식투자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배우는 것이 주문방식과 매매 체결 원칙입니다.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 지정가 등 다양한 주문방식과

가격우선·시간우선·수량우선 원칙을 제대로 알아야 원하는 가격과 타이밍에 매매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매매 체결의 3대 원칙, 각 주문방식의 정의와 장단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드립니다. 📝✨

 

매매체결원칙 및 주문처리방식
매매체결원칙과 주문처리방식

 

🤔 왜 알아야 할까?

주문방식과 체결원칙을 잘 모르면, 원하지 않는 가격에 체결되거나
투자 기회를 놓칠 수 있기 때문이에요!

 

📚 1. 매매 체결의 4대 원칙

먼저, 매매가 어떻게 체결되는지부터 알아야겠죠?

 

✅  (1) 가격 우선의 원칙

주식시장에서 가장 먼저 적용되는 원칙이에요.

🔎 : 더 유리한 가격의 주문이 먼저 체결됩니다.

💡 예시

  • 매도 주문: 더 싼 가격이 우선
    (싸게 파는 사람이 먼저 팔 수 있어요!)
  • 매수 주문: 더 비싼 가격이 우선
    (비싸게 사겠다는 사람이 먼저 살 수 있죠!)

 

(2) 시간 우선의 원칙

🔎 : 더 먼저 낸 주문이 우선적으로 체결돼요.

💡 예시

같은 가격에 매수 주문이 2개 있으면,
먼저 낸 사람의 주문이 먼저 체결됩니다. ⏰

 

(3) 수량 우선의 원칙

가격도 같고, 주문 시간도 같다면?

🔎 : 수량이 많은 주문이 우선됩니다.

💡 예시

같은 가격과 시간에 100주 주문 vs. 50주 주문이라면, 100주 주문이 먼저 체결돼요.

 

(4) 위탁 매매 우선의 원칙

🔎 : 개인 고객의 주문이 기관 주문보다 우선됩니다.

 

💡 정리

체결 우선순위는 이렇게 기억하세요!

👉 가격 > 시간 > 수량 > 위탁 매매

 

🏷️ 2. 동시호가란?

🔍 정의

동시호가 = 단일가 주문

일정 시간 동안 들어온 모든 주문을 모아서 하나의 가격으로 체결하는 방식이에요.

 

동시호가 시간

  • 장 시작 전: 8:30 ~ 9:00
  • 장 마감 전: 15:20 ~ 15:30

💡 왜 필요할까?

장 시작 전에는 전날 뉴스, 해외시장 영향 등으로 주문이 몰리고,
장 마감 전에도 마지막 정리 주문이 몰려요.

이때, 가격과 수량 우선 원칙으로 가장 많은 거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가격으로 체결됩니다.

 

어떻게 가격을 정할까?

가장 많은 수량이 매수·매도될 수 있는 가격으로 결정돼요.

예를 들어,

  • 5,000원: 100주 체결 가능
  • 5,100원: 250주 체결 가능
  • 5,200원: 200주 체결 가능

이 경우 5,100원이 선택됩니다.

반응형

 

📝 3. 다양한 주문방식 총정리

주문을 넣을 때는 방식 선택이 중요해요!

 

(1) 시장가 주문

🔎 정의: 시장에 형성된 가격으로 즉시 거래.

💡 특징: 빠르게 체결되지만, 가격이 예상보다 불리할 수 있어요.

(2) 지정가 주문

🔎 정의: 투자자가 원하는 가격을 지정해 주문.

💡 특징: 원하는 가격에 살 수 있지만, 체결이 안 될 수도 있어요.

(3) 조건부 지정가

🔎 정의: 지정가로 주문 넣었다가, 장 마감 전까지 체결 안 되면 시장가로 전환.

💡 특징: 체결 확률을 높이면서도 원하는 가격에 사길 기대할 수 있어요.

(4) 최유리 지정가

🔎 정의: 나에게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주문.

💡 예시: 

매수: 가장 낮은 매도호가에 주문

매도: 가장 높은 매수호가에 주문

👉 빠른 체결 + 유리한 가격

(5) 최우선 지정가

🔎 정의: 현재 가장 우선 거래될 수 있는 가격으로 주문.

💡 예시: 

매수 시 가장 높은 매수호가, 매도 시 가장 낮은 매도호가에 맞춤.

(6) 중간가 주문

🔎 정의: 최우선 매수호가최우선 매도호가의 중간 가격으로 주문.

💡 특징: 체결 가능성과 유리한 가격을 모두 고려.

(7) 스톱 지정가 주문

🔎 정의: 특정 가격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지정가 주문을 내는 방식.

💡 예시: 5,000원에 사고 싶은데, 현재 4,500원이라면 4,900원까지 올라왔을 때 자동으로 5,000원 지정가 주문이 들어감.

 

 

🧐 4. 실전 비유로 쉽게 이해하기

 

🍎 시장가 주문 = 재래시장에서 사과를 그냥 사는 것

가격 안 따지고 “아저씨, 그냥 한 봉지 주세요!” 하는 느낌.

🍏 지정가 주문 = 쿠팡에서 원하는 가격 설정하기

“이 사과, 5,000원 이하로 떨어지면 사야지!” 딱 원하는 가격에만 결제 버튼 누르는 거예요.

🍐 조건부 지정가 = 쿠팡 장바구니 + 마감 세일

장바구니에 넣어뒀다가 마감 세일 시작하면 자동으로 결제되는 느낌!

 

 

📌 5. 주문방식 선택 꿀팁

빠른 체결 원하면 → 시장가
원하는 가격이 중요하면 → 지정가
체결 실패 방지 + 가격 고려 → 조건부 지정가
급등·급락 대응 → 스톱 지정가

 

💬 마무리

오늘은 매매 체결의 4대 원칙, 동시호가, 다양한 주문방식까지 알아봤어요.
처음엔 복잡해 보여도, 이렇게 하나씩 용어와 개념을 익히면 주식 투자도 훨씬 쉽고 재밌어질 거예요. 😊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글에서 더 알찬 경제 이야기로 돌아오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