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주식

PBR 실전 가이드: 주가순자산비율로 저평가된 주식 종목 찾는 방법

by 키다리언니 제루샤 2025. 7. 1.
반응형

PBR(주가순자산비율)을 통해 기업이 장부가 대비 싸게 평가됐는지, 고평가인지 쉽게 분석해요.

주식 초보자도 할 수 있는 알짜 종목 발견 전략을 배워보세요! 😊

 

PBR 정의

 

📌 PBR, PER? 이름부터 헷갈린다면!

주식공부를 시작하면 가장 먼저 듣는 말이 있어요.

"PBR 낮은 주식 사면 돈 번대!"

근데… PBR이 뭘까요? 🤔

 

🌟 PBR 뜻부터 쉽게!

PBR = Price to Book-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말이 어렵죠? 쉽게 풀어볼게요.

 

 

💡 정리

PBR = 시가총액 ÷ 자본총계

여기서 자본총계는 기업의 순자산이에요.

 

🔎 순자산이 뭐야?
→ 기업이 가진 총 자산 - 총 부채 = 순자산
(빌린 돈 다 갚고 남는 진짜 내 돈!)

 

💰 PBR의 의미

PBR < 1
➡️ 주가가 순자산보다 싸다 = 저평가 가능성

PBR > 1
➡️ 주가가 순자산보다 비싸다 = 고평가 가능성

 

🚨 근데 PBR 낮으면 무조건 좋은 거 아냐?

많이들 이렇게 생각해요.

“PBR이 0.5면 자산의 반값인데? 개꿀!!”

하지만 현실은… 🥲

 

❗️ 주의할 점

자산을 비효율적으로 굴리는 기업일 수 있어요.
(예: 현금만 쌓아두고 사업확장을 안 함)

 

성장성이 낮거나 멈춘 기업일 수 있어요.
(예: 옛날 유명했던 브랜드, 지금은 아무도 안 씀)

 

수익성이 낮아 망하기 직전일 수도…

 

🔍 그래서!
PBR만 보지 말고 PER, ROE 같은 다른 지표도 꼭 같이 봐야 해요.

 

반응형

 

💡 PER도 함께 체크!

✔️ PER (Price to Earnings Ratio)

  • PER = 주가 ÷ 주당순이익

➡️ 한 주가 얼마만큼의 이익을 내고 있는지 보여줘요.

 

😎 PER도 낮으면?

PER이 낮다는 건 ‘이익 대비 주가가 싸다’는 뜻이에요.
그래서 PER과 PBR을 같이 봐야 안전해요.

 

📊 PBR < 1, PER도 괜찮은데 ROE가 높으면?

저평가된 종목일 가능성이 높아요! ✨

하지만 반드시 재무제표 꼼꼼히 확인하기!
(부채비율, 영업이익률, 현금흐름 등도 같이 보세요.)

 

🏦 저PBR 종목 예시 (시총 1000억 이상)

2025년 6월 기준, PBR이 낮은 지주사·금융주·ETF 10개를 알려드릴게요.
(단, 투자 결정은 스스로 꼼꼼히 분석 후 하세요!)

 

종목명 PBR 업종
하나금융지주 0.40 금융
KB금융 0.42 금융
우리금융지주 0.38 금융
기업은행 0.30 금융
대신증권 0.35 금융
메리츠금융지주 0.55 금융
한국토지신탁 0.33 부동산신탁
한라홀딩스 0.48 지주사
삼성화재 0.75 보험
KINDEX Fn저PBR가중 ETF 저PBR지수 추종 ETF

 

TIP:
ETF는 개별 종목보다 변동성이 작아
초보 투자자에게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어요.

 

 

💬 마무리 한마디

오늘은 PBR의 기본 개념부터 계산법, 투자 시 주의점까지 배워봤어요.
주식투자, 처음엔 어렵지만 차근차근 개념부터 이해하면 어느새 프로 투자자!

궁금한 내용은 댓글로 남겨주세요.
다음 글에서 더 알찬 경제 이야기로 돌아올게요. 😊

반응형

댓글